02.
2601.7001
진료예약
카톡 상담
오시는길
community
공지사항
최근 보건복지부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에서 ‘무릎 골관절염의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 관절강내 주사’가 안전성 및 유효성이 있는 의료기술로 심의를 통과했다.
이와 관련 해당 치료법에 대한 환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모든 신체 부위가 마찬가지겠지만 직립보행을 하는 인간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할 때 체중을 지지하고 뛰거나 걸을 때 충격의 흡수 및 완충 역할을 하는 무릎의 역할은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해당 부위에 이상이 발생하면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 심할 경우 운동장애까지 발생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무릎 부위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골관절염이 있다. 흔히 퇴행성 관절염이라고도 하며, 과거에는 노화로 인해 중장년층에서 주로 발현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평소 활동량이 많은 스포츠를 즐기거나 관절 부위를 자주 사용하는 직업을 가진 30~40대에게도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번 ‘무릎 골관절염의 자사 혈소판 풍부 혈장 관절강내 주사’의 신의료기술 통과는 PRP를 활용한 관절강내 주사치료가 무릎 관절의 통증 완화 및 기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며 “골관절염을 비롯한 다양한 근골격계 질환에 효율성이 입증된 PRP 치료술은 빠른 회복속도는 물론 환자 본인의 혈액을 사용하여 혹시 모를 부작용이나 거부반응의 우려가 낮은 것이 특징이다”
PRP시술은 환자의 자가혈을 채취한 후 혈액 內 가장 좋은 성분들이 포함된 혈소판만을 분리해내고 이를 다시 환자에게 주입하는 주사 치료이다. PRP시술은 의사의 실력뿐만 아니라, 혈소판을 얼마나 더 많이 농축시켜 더 정확하게 분리해낼 수 있는 제품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효과에 큰 차이가 발생한다.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9-243호 신(新) 의료기술’로 선정되기도 했던 PRP치료술은 EGF, PDGF, TGF, FGF-2, VEGF 등 다양한 성장인자가 함유되어 있는 혈소판을 활용하여 상처치유를 비롯해 세포증식과 콜라겐합성, 상피세포의 성장촉진 및 신생혈관 재생, 염증 완화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퇴행성관절염, 연골연화증, 연골손상, 슬개골 등 다양한 근골격계 질환 치료에도 활용되고 있다.